교양독서
도서 목록
- - 외국 저자의 경우 이름이 여러 가지로 표기될 수 있으며, 여러 가지 번역본이 있는 경우 같은 책이라도 제목이 다를 수 있습니다.
- - 번역된 책은 축약본이 아니라 반드시 완역본을 읽어야 합니다.
- - 아래에 분야별로 제시된 책의 순서는 권장하는 순서가 아닙니다.
- - 단편이 제목으로 되어 있는 책은 그 책 전체를 읽어야 합니다.
- - 아래의 책 외에 동일도서가 더 있을 수도 있습니다.
- - 성경은 다수이므로 필요한 부분을 따로 검색하여야 합니다.
제1분야 : 기독교(20권)
-
1. 성경 : 아래 목록 중 택1
- -신약 4복음서
- -신약 서신서(사도행전~요한계시록)
- -구약 역사서(창세기~에스더)
- -구약 시가서(시편, 잠언, 전도, 아가)
- -예언서(이사야~말라기)
- 2. <<복음주의 지성의 스캔들>>, 마크 A. 놀
- 3. <<사도 바울>>, 존 폴락
- 4. <<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>>, 라인홀드 니버
- 5. <<그리스도와 문화>>, 리처드 니버
- 6.<<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>>, 킹(저), 클레이본 카슨(엮음)
- 7. <<옥중서간>>, 본회퍼(저), 에버하르트 베트게 (편)
- 8. <<하나님 나라>>, 마르틴 로이드 존스
- 9. <<아가페와 에로스>>, 니그렌
- 10.<<그리스도교 사상사>>, 틸리히
- 11. <<그리스도의 십자가>>, 존 스토트
- 12. <<가난한 시대를 사는 부유한 그리스도인>>, 사이더
- 13. <<정의와 평화가 입맞출 때까지>>, 월터스토프
- 14. <<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>>, 뉴비긴
- 15. <<한국기독교의 역사>>, 1~3권,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(세 권 가운데 한 권만 읽어도 됨)
- 16. <<김교신: 그 삶과 믿음과 소망>>, 김정준
- 17. <<루이스 VS 프로이트>>, 아맨드 M. 니콜라이
- 18.<<언약신학에서 본 복음과 율법>>, 이한수
- 19. <<그리스도인의 비전>>, 리차드 미들톤 외
- 20. <<기독지성의 책임>>, 코넬리우스 플랜틴가
제2분야 : 문학(30권)
- 1. <<춘향전>>, <<심청전>>, <<흥부전>>의 완판본 중 택1
- 2. <<삼대>>, 염상섭
- 3. <<고향>>, 이기영
- 4. <<정지용 전집 1: 시>>, 정지용
- 5. <<엄마를 부탁해>>, 신경숙
- 6. <<태평천하>>, 채만식
- 7. <<김수영 전집 1: 시>>, 김수영
- 8. <<신동엽 전집>>, 신동엽
- 9. <<관촌수필>>, 이문구
- 10. <<오래된 정원>>, 황석영
- 11. <<황제를 위하여>>, 이문열
- 12. <<칼의 노래>>, 김훈
- 13. <<토지 1부>>, 박경리
- 14. <<태백산맥 1부>>, 조정래
- 15. <<당시선>>(반드시 이백, 두보 포함)
- 16. <<노신선집 1: 소설, 수필>>, 노신
- 17. <<그리스인 조르바>>, 니코프 카잔차키스
- 18. <<신곡>>, 단테
- 19. <<햄릿>>, 세익스피어
- 20. <<실낙원>>, 밀턴
- 21. <<파우스트>>, 괴테
- 22. <<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>>, 도스토예프스키
- 23. <<부활>>, 톨스토이
- 24. <<위대한 유산>>, 디킨스
- 25. <<주홍글씨>>, 호손
- 26. <<개미>>, 베르나르 베르베르
- 27. <<백년 동안의 고독>>, 마르케스
- 28. <<양철북>>, 그라스
- 29.<<장미의 이름>>, 에코
- 30. <<천 개의 찬란한 태양>>, 호세이니
제3분야 : 사회와 역사(30권)
- 1. <<지식의 통섭>>, 최재천,최일우
- 2. <<퇴계와 고봉 편지를 쓰다>>, 김영두
- 3. <<조선 최고 지식인의 17가지 질문>>, 김태완
- 4. <<정선 목민심서>>, 정약용/다산연구회 편역
- 5. <<논어는 진보다>>, 박민영
- 6. <<한비자, 권력의 기술>>, 이상수
- 7. <<언어의 종말>>, 앤드류 달비
- 8. <<로마인 이야기>>1~2권, 시오노 나나미(두 권 가운데 한 권만 읽어도 됨)
- 9. <<오주석의 한국의 미 특강>>, 오주석
- 10. <<한국학의 즐거움>>, 장석주 외
- 11. <<역사란 무엇인가?>>, E. H. 카
- 12. <<니코마코스 윤리학>>, 아리스토텔레스
- 13. <<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1~3>>, 이윤기(세 권 가운데 한 권만 읽어도 됨)
- 14. <<권력과 테러>>, 노엄 촘스키
- 15. <<에밀>>, 루소
- 16. <<행동경제학>>, 도모노 노리노
- 17. <<미국의 민주주의>>, 토크빌
- 18. <<자유론>>자유론
- 19. <<자본론>>, 1권, 마르크스
- 20. <<꿈의 해석>>, 프로이트
- 21. <<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>>, 베버
- 22. <<슬픈 열대>>, 레비스트로스
- 23. <<이성의 기능>>, 화이트헤드
- 24. <<설득의 심리학>>, 1~2권, 로버트 치알디니(두 권 가운데 한 권만 읽어도 됨)
- 25. <<문학과 예술의 사회사>>, 하우저(일부만 읽어도 됨)
- 26. <<물질문명과 자본주의>>, 브로델(일부만 읽어도 됨)
- 27. <<열린 사회와 그 적들>>, 포퍼
- 28. <<감시와 처벌>>, 푸코
- 29. <<진보와 빈곤>>, 조지
- 30. <<오래된 미래-라다크로부터 배운다>>,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
제4분야 : 과학과 기술(20권)
- 1. <<과학혁명의 구조>>, 토마스 쿤
- 2. <<부분과 전체>>, 하이젠베르크
- 3. <<엔트로피>>, 제레미 리프킨
- 4. <<카오스: 현대 과학의 대혁명>>, 글리크
- 5. <<E=mc 2>>, 데이비드 보더니스
- 6. <<엘러건트 유니버스>>, 그린
- 7. <<수학의 확실성>>, 클라인
- 8. <<객관성의 칼날>>, 길리스피
- 9. <<같기도 하고, 아니 같기도 하고>>, 호프만
- 10. <<기술, 의학, 윤리>>, 요나스
- 11. <<파브르 평전 –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>>, 마르틴 아우어
- 12. <<세계사를 한눈에 꿰뚫는 비하인드 수학 파일>>, 이광연
- 13. <<또 다른 교양 – 교양인이 알아야 할 과학의 모든 것>>, 에른스트 페터 피셔
- 14. <<공학기술과 사회>>, 이장규.홍성욱
- 15. <<과학이 종교를 만날 때>>, 이언 바버
- 16. <<책임 있는 과학 기술>>, 스티븐 몬스마 외
- 17. <<현대과학의 성서적 기초>>, 헨리 모리스
- 18. <<과학과 종교>>, 테드 피터스
- 19. <<신앙의 눈으로 본 생물학>>, 리처드 라이트
- 20. <<이중나선>>, 제임스 왓슨
